별도의 그래픽 카드없이 내장그래픽을 사용하고 있다면 메인보드쪽에,
외장 그래픽카드(앤비디아,라데온)을 사용한다면 외장그래픽카드에 모니터를 연결하면
별도의 설정없이도 듀얼모니터가 되긴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설정이 필요하다.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에 들어가게되면 위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일단 식별 버튼을 눌러서 무슨 모니터가 컴퓨터상에서 몇번으로 인식하는지 본다음에
우리가 실제 모니터 배치와 최대한 근접하게 마우스를 이용하여 배치를해주고 적용해준다.
그렇게 해야 마우스 포인터가 이동할때 부드럽게 이동한다.
참고로 경험상 듀얼모니터를 구매할때 해상도가 같으면 더 편리하다.
예전에 쓸떄 메인은 QHD 서브는 FHD로 구매했는데 창을 메인에서 서브로 넘길때 해상도 차이때문에 창 사이즈가 좀 불편했었다. QHD에서 FHD로 볼때마다 역체감이 나기도 하고.. 다만 크게 불편한건 아니다.
메인모니터를 주모니터로 앵간하면 되어있을테지만 한번 체크해보면 좋다. 특히 서브모니터가 터치까지 지원된다면 꼭 해야한다.
디스플레이 확장,복제가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확장으로 쓰면되고 복제는 예를들어 어디가서 상담하는데 상담하는사람과 고객이 마주보고 있는 상황에서 쓰지않을까 싶다. 혹은 TV랑 연결해서 노트북화면 복사한다던가..
다음은 듀얼모니터 이용시 화면 캡쳐 하는방법인데
1. Print Screen : 모니터 전체 클립보드에 화면 캡쳐
2. 윈도우키 + Print Screen : 모니터 전체 캡쳐 + 사진앨범에 저장
3. Alt + Print Screen : 마우스 포인터로 클릭한 화면만 클립보드에 캡쳐
4. 윈도우키 + Alt + Print Screen : 마우스 포인터로 클릭한 화면만 캡쳐 + 동영상에 저장
5. 윈도우키 + Shift + S : 캡쳐도구 : 캡쳐 도구 ( 직사각형, 자유형, 창, 전체화면 선택해서 캡쳐)
상황에 따라 골라서 쓰면 된다.
개인적으로 선택화면 캡쳐저장과, 저장후 자르기 귀찮아서 캡쳐도구를 많이 쓰는것 같다.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Mark 일반판 사용하기. 스팀 경유없이 (0) | 2022.07.20 |
---|---|
윈도우 10 공유폴더 설정하기, 활용 (0) | 2022.07.13 |
RYZEN7 5800X3D PBO2 turner 다운로드 및 언더볼팅 사용법, 벤치 (0) | 2022.07.12 |
MSI Afterburner로 그래픽카드 자동 오버클럭 하는법과 3Dmark 전후 (0) | 2022.07.11 |